Git/개념과 용어정리

Backup

kark 2024. 3. 17. 13:37
728x90

 

각 브랜치나, 각 커밋과 같은 정보는 .git 디렉토리에 담겨져있고

현재 디렉토리는 현재 버전의 파일들이 담겨져있다.

 

만약, 컴퓨터의 고장으로 모든 데이터가 날아간다면 아마 되돌릴수 없을것이다.

이럴때 사고 예방으로 백업을 생각할수 있다.

 

백업의 방식으로는 별도의 저장공간이 필요한데

별도의 원격 저장소를 구현하고 관리하기는 굉장히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저장공간을 Git에서 별도로 제공해주는데, 이러한 임대서비스를 Git Hosting 이라고 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해서 현재 진행중인 중요한 프로젝트를

파일 뿐만아니라, 이전 버전들의 정보까지 다른 컴퓨터에 저장해둘수도 있고

필요한경우라던가 프로젝트를 소실한경우 다시 가져다 꺼내올수도 있다.

 

이처럼 원격저장소에 프로젝트를 저장해두면 프로젝트를 다시 불러올수가 있는점을 활용해

다른 환경에서도 해당 프로젝트를 불러와(clone) 최신버전의 프로젝트를 이어서 작업할수가 있다.

 

다른장소에서의 작업을 마치고 원격저장소에 저장(push)하게되면

가장 왼쪽의 local 리포지토리는 해당 프로젝트의 최신버전이 아닌상태이다.

 

가장 오른쪽의 local 이 원격저장소에 최신 수정본을 push 해줬으므로

해당 프로젝트의 최신 파일을 다운로드 해오면 된다. 이러한 작업을 pull 이라고 한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답글 남겨주세요

'Git > 개념과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2way merge 와 3way merge  (0) 2024.03.14
Merge 병합  (0) 2024.03.13
Branch 브랜치  (0) 2024.03.13
Working Tree 와 Staging Area  (0) 2024.03.11
Git - Commit 과 Snapshot  (0)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