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SourceTree 13

커밋메세지 한글 깨짐 인코딩문제 해결

Tools - Options  일반탭에서 Default text encoding : euc-kr 설정 설정에서 Edit Config File... 로 메모장 열어주기 [i18n] logOutputEncoding = euc-kr commitEncoding = UTF-8[core] repositoryformatversion = 0 filemode = false bare = false logallrefupdates = true ignorecase = true[remote "origin"] url = https://github.com/....git fetch = +refs/heads/*:refs/remotes/origin/*[branch "master"] remote = origin merge = r..

Git/SourceTree 2024.08.04

SourceTree - 원격에서 로컬로 복제 Clone

원격 저장소에 등록되어있는 프로젝트이다. 해당 프로젝트를 다른 로컬에 복제해보자. Mac os 의 경우 다른 컴퓨터에서 SourceTree 실행 후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같이 현재 원격 리포지토리의 목록이 나온다. windows 의 환경인경우 깃허브의 HTTPS URL 을 복사한뒤 clone을 진행하면 된다. 이후 프로젝트의 log 나 각 브랜치 등의 정보들이 최신버전의 상태인것을 알수있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답글 남겨주세요

Git/SourceTree 2024.03.17

SourceTree - 원격저장소 설정, push 저장하기

원격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게되면 위와같은 화면을 볼수있다. 원격 저장소와 통신하기 위해 빠른 설정을 위한 HTTPS 와 SSH 키를 제공한다. HTTPS 는 보안적으로는 부족하며 조금 불편하지만 굉장히 쉽다. SSH 는 보안적으로 우수, 편리하지만 배울게 많다. HTTPS 를 활용해보자. 위의 HTTPS 를 선택하고 주소를 복사한다. 소스트리의 상단 탭에서 Repository - Repository Settings Remotes 의 Add 이 과정으로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가 연결이 된다. 원격 저장소에 진행중인 프로젝트를 저장해보자. 원격 저장소에 프로젝트가 push 된것을 알수있다. 이후의 파일 수정 후 커밋을 진행해보자 파일의 수정이 있다면 위처럼 push 버튼에 올려야할 파일 갯수를 남겨준다. ..

Git/SourceTree 2024.03.17

Source Tree - Merge

Merge의 기본개념 https://kark.tistory.com/44 Merge 병합 각 브랜치들중에서 그대로 고유한 버전으로 남겨둘수 있지만, 위의 그림처럼 3-A1 의 기능을 5 버전에 추가시켜할수도 있다. 이럴때 merge 로 병합을 시킬수 있는데, 병합될때는 충돌이 일어날수 kark.tistory.com 마스터 브랜치와 Temp 브랜치에 각자 파일을 만들고 마스터 브랜치에서 Temp 브랜치의 버전을 병합해보자. 병합을 진행할때 헷갈릴수 있는 부분이 있다. Master 브랜치를 Temp 브랜치로 보낼지, Temp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로 보낼지 선택해줘야 한다. 마스터 브랜치의 내용을 두고 , Temp 브랜치의 버전의 내용을 가져오고 싶다. 하면 마스터 브랜치로 넘어가서 병합하고 싶은 대상의..

Git/SourceTree 2024.03.16

Source Tree - branch

기본적인 브랜치 개념 https://kark.tistory.com/42 Branch 브랜치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A B C 순으로 프로젝트가 커밋되었다. 이후 여러가지 버전을 만들어줘야한다고 하면. C 까지의 결과물을 토대로 진행해야하므로 위 그림처럼 파일을 통으로 복사한뒤 작 kark.tistory.com 원하는 커밋에서 상단의 Branch 버튼 브랜치명 작성 후 Create Branch 해당 커밋에 브랜치가 만들어진것을 볼수있음 브랜치 테스트하기 원하는 브랜치로 가기 해당 브랜치의 내의 파일을 수정하고 커밋 진행 마스터 브랜치의 커밋만 추가됨 Temp Branch도 진행해보자. 해당 브랜치로 이동 - 파일 수정 - 커밋 브랜치가 만들어진 시점으로 부터 각자의 브랜치에서 커밋을 진행한 결과 마스터 브..

Git/SourceTree 2024.03.16

Source Tree - 버전간 파일비교 와 비교 툴

버전간의 비교를 할때 Source Tree를 보면 다음처럼 비교할수 있다. 어떠한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위의 비교방법은 이전버전과의 내역만 비교가 가능하다. 가장 최근 버전과 가장 마지막 버전을 확인하려면, 확인하고자 하는 버전을 선택 하단에 보면 원하는 파일 선택후 우클릭을 하게되면 위 그림처럼 나오게 되는데 Open Current Version 은 가장 최근의 파일은 어떻게 되어있는지 Open Selected Version 은 이 시점일때 파일은 어떻게 되어있는지 비교할수 있다. 해당 파일은 텍스트파일로써 비교방식이 간단하지만 다른 파일을 비교하게될때 비교할수 없는 상황도 발생할수 있다고한다. 이럴때 비교 툴을 사용하면 된다. 비교 툴로는, AraxisMerge , BeyondComp..

Git/SourceTree 2024.03.16

Source Tree - 되돌리지만 이전내역은 남기는 Revert

work 3 (최근) 버전을 커밋한 상태이다. 현재 프로젝트 디렉토리는 최신버전 상태이지만, 중간에 잘못된 내용이 있으므로 다시 work 2 버전으로 되돌아가야한다. 이때 Reset 기능을 사용하게되면 work 3 의 내역이 사라지게 된다. 해당 내역을 남기면서도 work 2 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선 revert , reverse 기능을 사용하면된다. 이전 커밋으로 되돌리기위해 현재 커밋에서 되돌리기 작업을 해줘야한다. ctrl + z 같이 생각하면 된다. 진행하게되면 work 3를 revert 한 버전이 만들어지며 work 3 이전의 버전으로 돌아가게 된다.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답글남겨주세요

Git/SourceTree 2024.03.15

Source Tree - Reset

work 2 라는 버전을 커밋했고, work 3 (최근) 버전을 커밋한 상태이다. 현재 프로젝트 디렉토리는 최신버전 상태이지만, 중간에 잘못된 내용이 있으므로 다시 work 2 버전으로 되돌아가야한다. 지금의 상태는 그냥 텍스트 한줄만 지워주면 되지만 수백줄짜리 코드에서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때 다시 work 2 상태로 모든 파일을 되돌리기 위해 Reset 기능을 이용해보자. 원하는 버전에서 우클릭 - Reset current branch to this commit 리셋의 각 옵션을 선택할수 있는데, soft 와 mixed는 작업중이던것을 남겨주므로 모든 변경사항을 해당 커밋으로 전부 되돌리는 hard 를 선택하여 되돌아간다. 정말 되돌릴것인지 확인 최신 커밋이 work 2로 되돌..

Git/SourceTree 2024.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