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Repository 는 각 버전을 저장하는 저장소로 알고있다.
그럼 각 버전이 어떤과정으로 버전이 만들어지는지 알아보자
간단히 말해
Working Tree 는 버전을 만들기 전 작업공간으로 작업자가 실질적인 수정사항을 반영하는 곳 이라고 보면된다.
Staging Area 는 작업자가 워킹트리에서 작업한파일을 이제 저장소로 보낼 준비를 하는 곳 이라고 보면되겠다.

Working Tree
실제 작업하고 있는 로컬 디렉토리의 현재 상태를 의미
작업자는 이 워킹트리에서 파일을 수정, 추가, 삭제할수 있고
워킹트리에서의 모든 작업은 아직은 임시적인 상태로 볼수있다.
Staging Area
Commit 을 위해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곳이다.
워킹 트리에서 변경된 파일들 중 Git에게 원하는 파일만 선택해 Staging Area에 추가할수 있다.
Staging Area를 사용하는 이유는
선택적 Commit 으로 모든 파일을 커밋하기 보다, 일부의 변경사항만 묶어 커밋할수 있게해줄수 있다.
또한 변경사항을 커밋하기 이전에 다시 검토하며 최종확인의 과정을 도울수 있게된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답글 남겨주세요
'Git > 개념과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rge 병합 (0) | 2024.03.13 |
---|---|
Branch 브랜치 (0) | 2024.03.13 |
Git - Commit 과 Snapshot (0) | 2024.03.10 |
Git 저장소 Repository (0) | 2024.03.10 |
Git - 깃이란? (0) | 2024.03.10 |